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40807 엔 케리 트레이드의 청산과 나스닥 추가 향방
    주식/미국주식 2024. 8. 8. 00:02

    최근 조정이 이루어지고 주식 시장은 한층 건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주식 시장에 그간 오른 요소는 AI였다.

    AI가 성장 동력으로서 주식 시장을 멱살 잡고 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각각 기업들의 어닝 콜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AI를 재료로 올랐던 주가에 비해 실적이 뒷받침 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해당 기업으로는 인텔, 테슬라,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 등 여러 기업이 있었다. 

     

    어닝 콜을 선방한 기업들도 여러 악재들이 가득했다. 

    엔비디아는 젠슨 황의 매도 소식과 블랙웰 발 설계 결함으로 출시 딜레이 악재, 애플과 구글 반독점 법 소송, 워렌 버핏의 주식 매도 소식 말이다. 

     

    근 며칠간 레버리지 세력들을 청산시키고, 나스닥은 반등을 시작한 모습이다.

     

    나스닥 선물 일봉
    나스닥 선물 일봉

     

    나스닥의 지옥의 기간 대칭은 사람들을 공포로 내밀었고 상승의 시작과 거의 동일한 주가 수준으로 내려왔다.

    3일 간의 반등은 피보나치 되돌림 상 0.382 선에 안착했다.

     

    위에 AI 버블 이슈가 아니더라도, 침체 이슈, 이란-이스라엘 간 지정학적 이슈, 엔케리 트레이드 이슈 말이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엔케리 트레이드 이슈라고 생각한다.

     

    엔 케리 트레이드

    달러 / 엔 일봉 차트

    엔 케리 트레이드의 여파가 아직 정리되지는 않았다. 원화 기준 950 선까지 돌파했으나, 미국 행정부의 압박으로 일본에서는 엔화 강세에 대해서 조절하기 시작했다. 울며 겨자먹기지만 말이다. 

     

    엔화는 그렇게 까지 상관은 없다. 중요한 건 일본 중앙은행의 기준금리이다. 

    일본이 금리를 인상을 했고 이는 시장 예측치를 정확하게 빗겨나갔다.

    예상보다 더 인상을 하게 된 것이다.

     

     

    일은, 4개월 만에 기준금리 0~0.1%→0.25% 추가 인상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4개월 만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나섰다. 국채 매입 규모도 2년 뒤 절반 정도로 줄이기로 하는 등 일본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끝내려는 움직임에 속도를

    www.hani.co.kr

     

    결론

    지정학적 이슈, 침체 이슈, AI 버블 이슈, 엔 케리 트레이드 이슈 4가지가 크게 증시 조정을 부여하고 있지만, 지정학적 이슈와 침체 이슈는 크게 걱정할 수준까지는 아니다. 정확하게는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다. 

     

    AI 버블 이슈와 엔 케리 트레이드 이슈가 중요할 것이다. 엔케리 트레이드가 미국 시장에서의 자본 유입을 멈췄고 청산이 나왔으며 미국이 세계 최강 국가로서 역할을 한다는 이유만으로 나스닥이 상승할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한다. 

     

    중요한 것은 AI 버블인지 아닌지 그동안 증시 상승을 가져왔던 AI라는 재료가 정상적인지가 중요하다. 실적이 3분기에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AI버블로 판명될 가능성이 크고, 미 대선이 끝나더라도 상승 가능성이 퀀트적으로 관점이 높지만 이에 불구하고 예외적인 케이스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아마존, 테슬라 등 기타 AI 기업에서 가져온 부분이다.

     

    엔화의 유입은 일본 금리 인상과 엔화 강세로 인해 추가적으로 유입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이머징 마켓에 대한 부분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머징 마켓으로는 인도, 동남아, 중국, 일본, 한국이 있겠지만, 가장 좋은 국가는 현재로서는 한국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한국인이라서 더 자세한 시각을 가져갈 수 있는게 아니다. 동남아의 선두 국가인 베트남이 금리를 4.75%로 올린 마당에 금리가 너무 높아 증시 상승이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베트남, 저금리 시대 마감 임박…금리 연 4.75% 돌파 전망 By 시티타임스 CityTimes

    베트남, 저금리 시대 마감 임박…금리 연 4.75% 돌파 전망

    kr.investing.com

     

    중국은 경기 디플레에 진입하였고, 유동성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부동산으로 올린 경기는 증시가 붕괴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은 엔화 강세에 따른 자본 유입이 당분간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좋게 보는 시장은 인도와 한국이라고 생각한다. 

     

    나스닥 매수에 대해서는 아직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