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 시세의 의심스러운 움직임 230412주식/미국주식 2023. 4. 13. 20:38
금 선물에게서 이상한 움직임이 벌어졌다.
최근 금 관련 주에 대해서 숏 포지션을 잡고 있다.
그 이유로는 직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한 달 정도 지나면 직감에 대한 결과가 나올 것 같다.
어제 CPI가 서프라이즈가 터지고 금 시세는 미친듯이 올라가기 시작했다.
한국시간 4월 12일 저녁 9시 30분에 0.92%를 상승했다.
해당 거래량으로 105 K이였다.
그리고 다음 1시간 동안 미국 선물 시장이 열리자마자 116 K가 거래됬고 -0.71%의 하락을 기록한다.
이 시간에 차익실현 매물들이 쏟아져 나왔다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금 시세 CPI 발표 당시 5분봉 프리마켓에서 어제와 같이 움직이는 것을 처음 보기도 했다. 상승폭을 그대로 아래로 반환하는 모습을 말이다. 선물, 주식이란 원래 도박과 속성이 같아 확률에 거는 싸움인데 CPI가 나오고 매수를 한다니
어제 이러한 변화를 보고 아래 사실에 대해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봤다.
- 중국이 금을 공공연하게 매집하고 있다는 건, 원자재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위안화의 공용화를 위한 노력, 달러 약세화) - 중국이 금을 매집하는 데 있어서 부양 후 이를 매도를 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4번과 연관, 위안화의 가치 상승 후 사이클처럼 노리고 있다고 생각) - 미국 연준이 공식적으로 침체를 인정했다고 볼 수 있는 회의록이 공개되었다.
(금 가격 + 요인이나 기존에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 - 중국이 대만에 대해서 지정학적 리스크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의도적인 금 값 부양 -> 달러 약세 분위기 고조) - 금리 인상을 더 이상 못한다는 것이 기정사실이 되었다.
(금 가격의 선반영 가능성, 누구나 아는 사실 = 아줌마가 재테크 얘기할 때 팔 때다.)
1. 중국의 금 매집
金, 위험회피자산 '급부상'...중국도 금 보유량 늘려 - 초이스경제
[초이스경제 홍인표 기자]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3월말 현재 중국 금 보유량이 6650만 온스(보유액 1316.53억달러)로 지난 2월말(6592만 온스, 보유액 1202.83억달러)보다 58만 온스(113.7억 달러)가 늘었
www.choicenews.co.kr
중국의 금 매집에 대한 기사이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서 언급하며 금을 매집했다고 한다.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이 장기화되며 크게 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사라진 지금 과연 지정학적 리스크라고 볼 수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누구나 아는 정보는 투자에 도움이 되지 않는데 말이다.
그렇다면 은행 줄도산 우려가 높기 때문에 금을 매집했다는 이유는 타당한지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은행은 이미 미국에서 리스크가 끝났다고 생각한다. BOA 주가 기준으로는 현재 35달러에서 28달러로 주가가 20%가 빠진 상태이다. 추가적으로 더 빠질지는 모르겠으나 아직은 조금씩 회복을 하는 추세이다. 과연 이걸 리스크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 중국의 금 매도 가능성
[초점] "위험한 형국"…중국, 美 국채 팔고 금 사들인다
세상에 얼마나 많은 양의 금이 있을까? 현재 최고 추정치에 따르면 역사상 약 20만8874톤의 금이 채굴되었고, 약 70%가 1950년 이후 채굴되었다고 한다. 세계 매장량에 2021년 9월 기준으로 약 3만1695
news.g-enews.com
중국이 미국의 국채를 팔고 금을 사들이고 있다는 위와 비슷한 기사이다. 미국의 달러라는 국제 통화에서 벗어나 위안화를 국제통화를 만들고 싶어 하는 중국의 야망이 금을 매수하게 하고 국채를 팔게 했을 것이다. 하지만 반대의 형태는 언제 일어나는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현재 달러 인덱스는 다음과 같이 22년 10월 경 112에서 현재 101까지 떨어진 모습이다. 2019년의 달러 인덱스 값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중이다. 어쩌면 주봉 상의 모습이 엘리엇 파동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달러 인덱스 주봉 러, 위안화 결제비중 14%까지 늘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금융권에서 퇴출된 러시아가 중국 위안화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 늘린 한편 탈(脫)달러·유로는...
www.sedaily.com
이미 러시아에서는 위안화에 대해 의존을 크게 늘인 상태이다.
3. 연준의 침체 공식 인정
[상보] 뉴욕증시, “올해 완만한 경기침체” 연준 의사록에 하락…나스닥 0.85%↓
연준 “경기침체 후 2년 동안 회복 전망”“금융 문제 관련된 경기침체가 더 심각한 경향”3월 CPI 상승세 둔화에도 투자자 우려 커져전문가 “이미 경기침
www.etoday.co.kr
연준이 공식적으로 침체를 인정했다. 경기 침체 시기에는 금 값이 오르는 것이 과거 선례를 통해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이미 지표에서는 침체에 진입했다고 기사가 나오고 많은 의견들이 나왔었다. 그렇기에 뉴스를 통해 차익실현 매물이 더 출현하고 오히려 추세의 변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22년 10월 기사, 침체는 이미 공공연하게 알고 있었던 사실이다. 세력주처럼 금 가격도 부양받고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라는 말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美 뉴욕 제조업지수 급락…침체 경고등 울렸다
美 뉴욕 제조업지수 급락…침체 경고등 울렸다, 9월 대비 7.6포인트 하락한 -9.1 기록 전망치 크게 밑돌아 경기 기대 지수도 마이너스로 추락
www.hankyung.com
4. 중국의 지정학 리스크 극대화
대만 포위한 中의 ‘날카로운 검’…동원 군용기 100대 육박, 역대 최다
대만 국방부, 10일에만 中 군용기 91대 식별12시간 식별만으로 역대 최다 기록 갈아치워중국軍
www.munhwa.com
근래에 중국의 중앙은행이 금 보유 사실을 공개했다. 그리고 3일 전 대만을 포위한 채 군사 훈련을 진행했다. 과연 여기에서 금을 사야 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군사적인 직접 타격은 대만을 상대로 중국은 할 수 없을 것이다. 위안화를 국제 통화로 만들겠다는 국가가 과연 하나의 중국이라는 명분을 토대로 대만을 타격할 수 있는지는 앞뒤가 안 맞는 이유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전략적 스탠스가 금 가격에도 영향을 미쳤고 이를 통해 본인들이 매집한 금에 대해서 가격을 올려놓는 수단이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5. 금리 인상 가능성의 낮음
이 생각은 인간 미터기를 사용한 부분이 아닌가 싶다. 은행주가 터져나가고 그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확신했을 것이다. 더 이상 금리를 올리지 못한다는 것과 어제의 CPI가 서프라이즈가 터졌기 때문에 말이다. 그러므로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은 돈이 되지 못한다. 금리의 인상 가능성이 낮다는 것은 이미 선반영이 되었고 주식을 조금이라도 만져본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일 것이다.
그렇기에 차익실현이 출현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안전자산이라고 하는 금이 이렇게 빨리 급등을 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이기에 말이다. 결국 오늘의 PPI 지수 발표와 실업 청구, 소매판매 지수를 보아야 정확한 방향이 잡힐 것 같다고 예상이 된다.
짤막하게 금이란?
금이라는 자산은 안전자산의 대표 주자로 금리 인하와 같은 방향을 취하며 침체 시기에 오르는 경향이 있다. 달러와 반대 경향이 있으며(아래 글 참조) 은행주 리스크로 인해 미국이 돈을 많이 풀었기 때문에 달러 인덱스는 많이 낮아진 상태이다.
환율이 올라간다!! 꽉 잡아~/ 달러 인덱스와 나스닥
달러 인덱스가 이상한데??.. 작년 1400원/달러 대 환율에서 점점 내려오더니 1200원/달러 환율로 내려온지 3개월도 되지 않았다. 미국 주식을 하는 나로서는 기존에 바꿔놓은 달러가 있었기 때문에
r-mercury115.tistory.com
※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주식 >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선물 가격과 GDXU(금광 3배 레버리지) 가격의 상관 관계 (2) 2023.04.16 금 시세(금값)의 하락 시그널? 230414 (0) 2023.04.15 상업용 부동산의 흔들흔들 흰수염, 그렇다면? ZM(ZOOM,줌) 230401 (0) 2023.04.01 시스템이 터져도 롱, 3월 4째 주 주간 증시 (0) 2023.03.25 20년채와 블록체인 기업의 주가 비교 (0) 2023.03.19 - 중국이 금을 공공연하게 매집하고 있다는 건, 원자재 투자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