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토스증권 분석과 비교
    주식/미국주식 2023. 2. 15. 16:01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

    주식 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격언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불어 유명한 말은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이전에 금 관련주를 투자하고 있어서 금 시세에 대해서 예의주시 하고 있었던 터라

    목격한 위 격언에 관한 사례를 가져와보려고 합니다.

     

     

    토스증권 애널리스트 분석은 결과 분석일뿐

    토스증권 애널
    토스증권 금 시세 분석글

     

    토스 증권에 대해서 악의는 있는건 아닙니다.

    다만 애널리스트 글을 보고 투자하는 건, 추가적으로 공부하고 찾아보고 진행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2월 1일 올라온 게시글이며 금 시세가 신고가를 찍을 것 같다는 오피니언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늘 신고가는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신고가는 차익실현 매물이 나올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목표가를 잡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매수를 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어서 수익 내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해서 금 시세를 확인해보면

    금 시세
    금 시세 그래프 일봉입니다

    2월 1일 FOMC가 있었고, 그에 따라 애널리스트 글에 추종적인 분들은

    매수하신 분들은 우상향을 목격하고 매수를 진행했을 겁니다.

     

    지표와 함께 금시세
    보조지표와 함께 본 금시세

    하지만 정확하게 RSI는 70이었으며 충분히 과매수 상태였습니다.

    또한 볼린저밴드 상단에 있었죠.

     

    충분히 기존에 있었던 사람들은 매도를 계획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1920대였던 금 시세가 1860대까지 2일만에 폭락했으니 단기적인 수익은 안좋을 수 밖에 없습니다.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팔아라라는 격언이 유명한만큼 정확한 사례를 보여주는 케이스가 아니였을까 싶습니다.

     

    또한 급등주의 뉴스에 들어가는 경우 재료의 크기를 가늠하고 들어가면 괜찮지만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주변에서 물어보는 경우 비추천 하고 있습니다.

     

    금 시세는 현재 이동 평균선의 정배열이 깨진 상태이며, 금리 완화에 대해서 반등할 여지가 충분하지만 

    차트에 대해서는 아직 바닥이 잡히지 않아 위험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충분히 매수할만한 가치가 있다고는 생각을 합니다.

    나스닥이 10000대에서 12000대로 20% 상승을 진행했는데, 금이 먼저 추세를 이탈하여 추락하고 있으니 말이죠.

     

    금 관련 주식은?

    토스증권에도 언급이 되어있지만, 관련 주식으로는 금광주가 있습니다.

     

    개별 주식으로는 아이엠골드, 골드 필즈 등 다양한 주식이 있지만, 개별 주식은 리스크 관리가 힘들기 때문에

    저는 ETF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롱 : GDX, JNUG(2배), GDXU(3배), GDXJ(소형 금광주)

    숏 : GDXD(3배) ... 등

     

    금광 주식으로 롱 숏 스위칭을 진행하며 충분한 수익을 거뒀고 현재는 롱포지션으로 매수를 진행한 상태입니다.

     

    결론

    애널리스트의 글만 보고 매수하지 말고, 투자 원칙을 지키고 리스크 관리를 하자

     

    감사합니다. 

     

    하단에 토스 증권 해당 글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https://contents.tossinvest.com/article/digest/13774?utm_source=referral_button_digest_content 

     

    토스증권

     

    contents.tossinvest.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